뇌
-
뇌의 감정 인지뇌 2023. 1. 1. 23:25
뇌의 감정 인지 방법 사람이 불편감을 인지하고 드러내기 시작하는 시기는 만 5세이다. 우리는 한국 나이로 5세도 되지 않은 시기부터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나 감정에 지배를 받으며 불편감도, 유대감과 애착도 형성해 나가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뇌의 감정 인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감정(emotion)'은 우리의 뇌, 아니 더 나아가 우리의 존재 전체 중에서도 압도적인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는 언제나 서로 상호 작용하는 감정과 생각을 통해 모든 의사결정을 내리고, 또 감정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심박수, 호흡, 땀 분비량과 같은 생리적인 부분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감정이 일어나 우리의 뇌가 발생된 감정을 인지하기까지의 과..
-
뇌의 시간 지각뇌 2022. 12. 31. 22:00
뇌의 시간 지각 방법 우리의 뇌는 체내시계라고 불리는 시간을 잴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생체리듬을 조절한다. 그리고 이 덕에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도 꽤 정확하게 시간을 인식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뇌의 시간 지각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 먼저 '체내시계(internal clock)'는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우리는 정확한 시간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식욕, 수면욕과 같은 생체 활동의 욕구를 느끼고 일반적인 패턴대로 생활을 한다. 그리고 이에 호기심을 품은 학자들이 이와 같은 사람들의 자연적인, 소위 생체리듬이라고 불리는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을 연구해 본 결과, 시계도, 실험장 밖도 보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욕구를 따라 두 ..
-
언어와 소통뇌 2022. 12. 30. 23:22
뇌의 언어와 소통 우리의 뇌는 엄마의 뱃속에서부터 언어를 습득해 아이들은 아무런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부모를 통해 자연적으로 언어를 이해하고 소통한다. 그리고 그만큼 뇌의 언어와 소통은 인간의 생애에서 필연적인 과정이자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위대한 선천적 능력이다. 때문에 많은 부모들은 아이들의 언어 발달을 위해 엄청난 정성을 쏟곤 하는데, 흔하게 알려진 아이의 언어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는 첫 번째, 아이가 사용한 문법이 틀렸을 경우 틀렸다며 고치라고 하기보다는 아이가 한 말을 알맞은 문법으로 바꾸어 말을 되풀이해 줄 것, 두 번째는 부모와 마주 볼 수 있는 식탁 구조와 유모차 등을 사용해 아이와 시선을 더 자주, 오래 맞출 것이다. 놀랍게도 아이들은 부모와 자주 마주 볼수록 언어 발달 속도가 빨라진다..
-
음악이 뇌에 미치는 영향뇌 2022. 12. 29. 22:00
음악이 뇌에 미치는 영향, 뇌와 음악의 관계 우리 인류는 고대 시기부터 북과 같은 악기들을 통해 음악을 즐겼으며,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간은 하루 중 75%를 음악을 듣는 데 쓴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처럼 인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음악이 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뇌와 음악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다. 음악이 매우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굳이 확인하지 않아도 모두가 알고 있을 것이다. 음악은 우리의 기분을 향상할 수도, 눈물이 차오르게도, 잠에 빠지게도 할 수 있으며 누구나 한 번쯤은 음악에 몰입해 이러한 경험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악치료학 연구 결과, 음악이 우리 뇌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들의 기대보다 훨씬 컸다. 수술을 마치고 나온 환자들에..
-
변성 의식 상태뇌 2022. 12. 28. 22:00
일상 의식과 변성 의식 상태 우리 뇌의 의식 상태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리고 여러 형태의 의식들 중 오늘 알아볼 변성 의식 상태는 알코올, 피로, 명상 등의 이유로 우리의 의식이 정상 범주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상 의식과 변성 의식 상태의 차이점을 알아보겠다. '변성 의식 상태(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를 가장 처음 제시한 사람은 바로 미국의 심리학자인 '찰스 타트(Charles Tart)'이다. 찰스 타트는 변성 의식 상태가 무아지경, 초탈, 입면 선잠 등으로 유야무야 표현되며, 정확하게 규정된 용어가 없었던 1969년, 변성 의식 상태를 정확하게 정의했다. 여기서 참고로 초탈이란 세속 또는 일반적인 한계를 일탈하는 것을 의미하고, 입면 선잠이란 영어..
-
뇌의 노화뇌 2022. 12. 27. 22:34
뇌의 노화와 손상 뇌의 노화는 놀랍게도 이십 대부터 시작된다. 하지만 이는 이전의 포스팅에서 설명했듯 우리에게 불필요한 뇌세포만을 사멸시켜 뇌를 더 효율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뇌의 노화와 손상을 자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중년에 들어서면서부터 뇌의 속도 저하, 기억력 감퇴, 사고 능력 등을 이유로 뇌의 노화를 깨닫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바로 나이가 들수록 늘어나는 우리 뇌 속 뉴런에 축적되는 '신경섬유매듭(neurofibrillary tangle)'과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beta amyloid protein)' 때문인데, 이중 먼저 neurofibrillary tangle은 우리의 인지능력을 떨어뜨리며, beta amyloid protein은 시냅스..
-
뇌의 성장 과정뇌 2022. 12. 26. 22:00
뇌의 성장 과정 네 가지 우리들의 뇌는 여러 경험을 통해 물리적으로 구조를 재조직시킬 수 있는 기관이다. 그리고 이러한 뇌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유전자부터 영양, 스트레스, 사랑, 지적 자극 등 매우 다양하다. 뇌의 성장 과정 네 가지를 알아보겠다. 사람의 뇌는 임신 3주 차쯤 형성이 시작되어 8주 차에 들어서면 기초적인 뇌 구조가, 그리고 수정 후 열 달이 지나면 주요 신경 경로 형성이 모두 끝나게 된다. 즉 아이가 태어날 때는 이미 뇌 영역이 모두 자리를 잡은 상태인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뇌는 여기서 발달을 멈추지 않고 성인기에 들어서기 직전까지도 계속해서 성장을 거듭하는데 이러한 뇌의 성장 과정은 '신경 발생(neurogenesis)', '시냅스 형성(synaptogenesis)', '..
-
뇌가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법뇌 2022. 12. 25. 22:00
뇌가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법, 만병의 근원 흔히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만병의 근원으로 여긴다. 하지만 이는 편견에 불과하며 실제 스트레스는 '좋은 스트레스(eustress)'와 '나쁜 스트레스(distress)'로 분류된다. 그렇다면 이번 글에서는 우리 뇌가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eustress와 distress를 명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들의 성향과 반응은 제각각 상이해 누군가에게는 eustress로 받아들여지는 상황도 반대로 누군가에게는 distress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트레스는 eustress든 distress든 우리의 정신과 신체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좋은 증거이다. 이는 우리가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뇌가 보이는..